아이들을 키우는 데 필요한 심리학적 요소들은 부모나 보호자들이 어떻게 아이들의 발달과 행동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과 원칙을 포함한다. 여러 개념들과 원칙들이 있지만 대표적인 심리학적 접근방식은 육아를 하는 글쓴이도 많은 도움을 받고 이를 바탕으로 아이의 성장에 도움을 주고자 찾아보았다.
- 발달 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개인이 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학문으로 아동부터 성인가지의 발달 단계에서 인지, 사회, 정서, 언어 등 다양한 영역을 다루고 인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아이의 행동과 필요에 맞게 상황을 조정하며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특히, 발달 이론 (Developmental Theories)을 통해 개인의 발달 단계와 특징, 과정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제공하고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지평선 이론 (Horizonal Theory), 피아제 (Jean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 에릭슨 (Erik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베이비 테스트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등이 있다.
- 유아기 심리학(Early Childhood Psychology)
유아기는 아이들의 인격과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기로써 아이들의 기초적인 자아 개념 형성과 자아조절, 감정표현 등을 지원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보통 출생 후 8세까지의 시기에 발달과 행동을 관찰하고 감정의 표현과 이해가 확장되는 이 시기에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도 발달시키게 됩니다. 이는 사회적 관계형성과 감정 조절 능력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가족, 동료, 선생님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기술, 언어 발달, 규칙 및 역할 이해 등을 습득하게 됩니다. 그리고 인지 발달이 확대대는 시기로써 문제 해결, 추론, 상상력, 기억력 등을 발전시키며 언어 발달이 가속화되어 생각을 표현하고 어휘력, 분법, 의사소통 기술 등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 상호작용과 부착(Interaction and Attachment)
아이들은 상호작용과 부착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부모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안전한 부착 관계는 아이의 정서적 안정성, 자아 개발, 사회 기술 향상에 기여한다. 특히 유아기에 있어 상호작용은 발달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며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의 성장은 존 볼비의 부착 이론(John Bowlby's Attachment Theory)을 통해 심리학적으로 발달되었다. 이는 아동과 보호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관계가 아동의 발달과 안전한 기반을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고 보았고 아동의 부착이 안전한 기반을 제공하고 분리와 재결합을 통해 안전한 탐구와 독립을 지원한다고 보았다. 다양한 영역과 관련되어 심리적 안녕과 성장에 긍정적이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고 보았다.
- 긍정적인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이 이론은 아이들의 행동을 강화하고 원하는 행동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긍정적인 강화는 원하는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보상이 주어짐으로써 아동이 그 행동을 반복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몇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고 보았다.
- 칭찬과 격려: 아이가 원하는 행동을 보였을 때 칭찬하고 격려가흔 것은 긍정적인 강화의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하거나 목표를 달성했을 때 칭찬의 말이나 상징적인 보상을 주는 것은 아동의 자신감을 향상하고 원하는 행동을 지속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보상 시스템: 일련의 동작 또는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포인트, 스탬프, 스티커 등의 보상을 주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긍정적인 강화의 한 형태입니다. 이를 통해 아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원하는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 특별한 활동이나 보상: 아이가 특정한 행동을 성취하거나 원하는 행동을 지속할 경우 특별한 활동이나 보상을 제공하는 것도 긍정적인 강화의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잘 먹었을 때 아이와 함께 놀거나 특별한 활동을 해주는 것은 원하는 행동을 유지하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긍정적인 강화는 아동의 자기 효능감, 동기부여, 협조적 행동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 행동 조절, 학습 등을 지원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강화의 종류와 사용 방법은 아동의 개별적인 특성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강화는 일관성, 적절성, 효과적인 타이밍 등을 고려하여 사용되어야 합니다.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원리와 이론이지만 실제적인 사례들과 육아를 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근본이 되는 이론들이기에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자 핵심 원리들을 살펴보았다. 물론 개개인의 성장과 환경은 다르기에 무조건 적인 이론은 아니지만 부모가 아이들을 위해 조금씩 그 영역을 넓혀간다면 아이들의 행동과 생각을 이해함에 있어서 조금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 마음은 다음에 살펴보도록 하고 아이와 함께 성장하고 배우는 경험은 현시대의 육아에 있어 꼭 필요한 일임은 확실해 보인다.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꿈 (0) | 2023.06.28 |
---|---|
헤르만 에빙하우스의 기억의 비밀 (0) | 2023.06.27 |
B.F. 스키너의 행동주의 (0) | 2023.06.23 |
알버트 반두라의 사회학습 (0) | 2023.06.22 |
엘리자베스 로프터의 플라이오버 효과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