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20

로버트 헤어와 싸이코패스 우리가 싸이코패스? 로버트 헤어(Robert Hare)는 범죄 심리학 분야의 권위 있는 전문가로 범죄자와 사회병리적 행동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있어 반복적인 반사회적 행동과 공감 및 죄책감의 결여, 충동적 그리고 자기중심적 성향을 특징적으로 하는 싸이패스라는 개념과 진단 도구를 발전시켜 왔다. 가장 유명한 그의 연구는 싸이코패스의 특성을 평가하고 진단하기 위해 개발된 PCL-R(Psychopathy Checklist-Revised)로써 감정 부족, 죽음에 대한 무관심, 외부 표출, 낮은 행동 통제, 권력욕 등을 20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항목별로 수치로 나타낸다. 이를 점수별로 나타난 뒤 만점은 40점으로 우리나라는 25점 이상을 기록하면 싸이코패스로 분류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싸이코패스의 특징과 행동 패.. 2023. 7. 12.
로버트 자이언스의 노출 효과 자극 노출과 태도형성의 관계 폴란드 태생의 심리학자로 '인지' 및 '동기' 연구에 대한 기여도가 높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로 '규율된 명제(Affective Primacy)'는 감정적인 반응이 인지적인 처리에 앞서 동기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며 우리가 어떠한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감정적인 요소가 분명히 선행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주장했다. 감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 감정적인 부분은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정보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이에 감정은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생존과 원활한 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았다. 즉, 위험한 상황에서는 두려움이나 공포와 같은.. 2023. 7. 6.
솔로몬 애쉬의 동조 실험 집단 압력의 힘 20세기 미국의 심리학자로 사회심리학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의 연구는 집단 심리, 인간의 사회적 행동, 그리고 독립적 사고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주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연구 중 하나인 '동조 실험( Conformity Experiment)은 집단 압력이 개인의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의 대표적 실험인 동조 실험을 알아보자. 참가자 모집: 사전 조건을 형성한 뒤 참가자들을 모집했다. 보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 성별, 학력 수준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참가자 형성: 실험 참가자들은 작은 방에 함께 자리하게 된다. 그 그룹은 보통 7명~9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실 이 중 대부분은 실험 참가자 자신인 척하.. 2023. 7. 5.
필립 짐바르도의 집단의 권위와 환경 '스탠퍼드 감옥 실험' 짐바르도는 미국의 스탠퍼드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였고 사회심리학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사회의 권위와 환경 그리고 역할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실험하기 위해 1971년 '스탠퍼드 감옥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계기로 널리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감옥 환경에서의 집단 상호작용과 권위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설계되었고 실험은 스탠퍼트 대학교의 지하실을 감옥으로 재현하여 진행하였다. 참가자 모집: 스탠퍼드 대학교 학생들 중 24명의 남성을 선발하고 참가자들은 건강 상태와 범죄 기록 등을 고려하여 무작위로 감옥 수감자 9명과 감지사 15명으로 역할을 배정했다. 감옥 환경: 스탠퍼드 대학교의 지하실에 감옥 환경을 조성하였고 감옥은 3개로 구성되어.. 2023. 7. 4.
현대사회와 심리학 심리학은 다가가기 힘든 학문으로 생각되지만 사실 우리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리고 둘 사이는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며 우리가 하루를 살아가며 수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고리타분한 정의로써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 사고, 감정, 인지 과정 등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학문이라 한다. 그것들을 우리는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과학적 응용 간단히 말해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 활용된다. 심리학의 이론과 연구를 기반으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사회적 상황과 현실 세계에 적용하여 사회적 문제점의 통찰력을 얻고 개인과 집단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보자. 설문 .. 2023. 6. 30.
매슬로의 기탁 계층론 인간의 욕구와 만족에 관한 계층적 구조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가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에서부터 상위 단계의 성장과 자아실현을 추구하고 욕구로 발전한다고 보았다. 그는 각각의 계층들을 계단 모형으로 설명하며 하위계층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계층의 욕구로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고 낮은 수준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더 높은 수준의 욕구를 실현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그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적인 욕구(Physiological) - 생리적 욕구 가장 하위에 속한 계층이며 생존에 필요한 욕구를 다룬다 보았다. 숨쉬기, 수면, 식사 등과 같은 생리적인 욕구가 포함되며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 필수적인 요구사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영양을 공금하고 몸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음식과 수분.. 2023. 6.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