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매슬로의 기탁 계층론

by 무능대디 2023. 6. 29.
반응형

인간의 욕구와 만족에 관한 계층적 구조

 

Abraham Harold Maslow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가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에서부터 상위 단계의 성장과 자아실현을 추구하고 욕구로 발전한다고 보았다. 그는 각각의 계층들을 계단 모형으로 설명하며 하위계층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계층의 욕구로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고 낮은 수준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더 높은 수준의 욕구를 실현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그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 기본적인 욕구(Physiological) - 생리적 욕구

가장 하위에 속한 계층이며 생존에 필요한 욕구를 다룬다 보았다. 숨쉬기, 수면, 식사 등과 같은 생리적인 욕구가 포함되며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 필수적인 요구사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영양을 공금하고 몸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음식과 수분은 필수적이고 신체 기능을 유지하고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해 충분한 음식과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고 했고 숨쉬기는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데 필요한 생리적 필수 기능이라 보았다. 이에 외부 위험으로부터 보호와 안전한 환경은 기본적인 욕구로써 개인의 안전과 신체적 위협으로부터의 방어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기능들로 신체적인 질환과 통증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 안전과 안정 (Safety)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전하고 보호받을 수 있는 욕구를 다루며 개인의 안전, 직장, 집, 재정적 안정이 이에 속한다. 안전한 환경과 예측 가능성이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욕구를 다루며 폭력, 사고, 위험한 환경 등으로부터의 보호와 환경조성이 필수적이라 보았다. 경제적으로는 충분한 자금과 자원을 갖고 경제적인 어려움과 불안으로부터 보호받으며 안정적인 직업, 재정 관리, 금융적인 안정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는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위협이나 폭력, 사회적인 충돌 등으로부터 보호받으며 사회적인 관계 즉 집단의 지시와 보호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요구사항이 충족되지 않으면 인간은 불안, 불안정, 위협 등의 감정을 경험하며 상위계층인 소속과 사회적 관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보았다. 

 

 

  • 소속과 사회적 관계 (Belongingness and Social Relationships)

사회적인 소속감과 사회적인 관계의 욕구를 다루며 인간은 사회적인 상호작용과 관계를 형성하며 사회 집단에 속하고 사랑과 애정을 주고받는 욕구를 실현한다고 보았다. 가족, 친구, 직장동료, 사회 집단 등과의 연결과 소속감은 인간이 사회적으로 통합되고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가장 기초로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로부터 얻는 지지와 도움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감정적인 안정감과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뽑았다. 깊이 나아가 사랑은 인간의 감정적인 연결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데 우리의 정서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정서적인 만족감에 영향을 주며 존경과 자아실현과 같은 더 높은 계층의 욕구를 추구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 보았다. 

 

 

  • 존경과 자존감 (Esteem and Self-esteem)

자아존중감과 타인으로부터의 존경을 얻기 위한 욕구를 다루며 인간은 자기를 존중하고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며 개인의 성취, 인정, 사회적 지위, 자기 평가 등과 관련된다고 보았다.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자신을 존중하는 것을 의미하고 개인의 내적인 가치와 능력에 대한 인식과 자신감을 통해 형성한다고 보았다. 이에 성취, 자기 평가, 독립성, 자기 효능감 등과 관련되어 심리적 안정과 자아발전에 큰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다. 이에 존경과 인정은 타인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긍정적인 평가와 인정은 인간의 존재와 성과에 대한 인정을 의미하며, 사회적 지위는 사회적인 계층이나 집단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평가받는 것이라 생각했다. 개인의 업적, 사회적인 역할, 자원, 권력 등과 연관되고 새인의 사회적인 신분과 인정을 형성하는 데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만약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개인은 자아 비하, 무가치감, 자기 불만족 등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으며 더 높은 계층을 충족시키기 어렵다고 믿었다. 

 

 

  • 자아실현 (Self-actualization)

개인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개인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단계로써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자기 개발에 헌신하며, 내적인 욕구와 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정의했다. 즉,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향상하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자기 개발에 헌신하고 창의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해결책을 발견하려 한다고 보았다. 문제에 대한 독립적인 사고와 독창성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내적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도달하기 위해 노력과 성취감, 만족감을 얻고자 한다고 보았다. 인간은 개인이 자기 동기에 의해 원동력을 가지며 자신과 주변 세계를 더 깊이 이해하고 경험을 살아가는 데에 관심과 열정을 가진다고 보았고 높은 수준의 만족감과 성취감을 가져다주며 개인의 창의성과 독립성을 촉진시킨다고 주장했다. 

 

 

매슬로의 이간 기탁 계층론은 인간의 욕구와 만족에 대한 계층적인 구조를 설명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적인 응용과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론은 단순한 계층 구조로만 이해되기보다는 더 복잡한 상호작용과 개인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미래 연구에서는 계층 구조의 영향과 문화, 사회, 개인 차이에 대한 이해를 더욱 발전시켜 가야 된다고 보았으며 다른 이론과의 통합과 심리치료 분야에서의 응용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매슬로의 이 계층론은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중시하는 접근법으로써,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계속 발전될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참고문헌] Maslow, A.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4), 370-396.

728x90
반응형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립 짐바르도의 집단의 권위와 환경  (0) 2023.07.04
현대사회와 심리학  (0) 2023.06.30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꿈  (0) 2023.06.28
헤르만 에빙하우스의 기억의 비밀  (0) 2023.06.27
육아 심리학  (0) 2023.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