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솔로몬 애쉬의 동조 실험

by 무능대디 2023. 7. 5.
반응형

집단 압력의 힘

 

Solomon Asch

 

20세기 미국의 심리학자로 사회심리학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의 연구는 집단 심리, 인간의 사회적 행동, 그리고 독립적 사고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주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연구 중 하나인 '동조 실험( Conformity Experiment)은 집단 압력이 개인의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의 대표적 실험인 동조 실험을 알아보자.

 

  1. 참가자 모집: 사전 조건을 형성한 뒤 참가자들을 모집했다. 보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 성별, 학력 수준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2. 참가자 형성: 실험 참가자들은 작은 방에 함께 자리하게 된다. 그 그룹은 보통 7명~9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실 이 중 대부분은 실험 참가자 자신인 척하는 공동체이다. 
  3. 시각 자극 제시: 실험은 시각적인 자극을 통해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에게는 두 개의 카드가 주어지고 한 장에는 기준 선이 그려져 있고, 다른 한 장에는 세 계의 선 중에서 기준 선과 길이가 같은 선이 그려져 있다. 이 카드는 참가자들에게 선택할 문제를 제시하는 데 사용된다. 
  4. 참가자들의 순서: 첫 번째 참가자부터 시작하여 각 참가자는 자신의 의견을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른 참가자들은 공동체로서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으며 제시된 카드보다 사전에 계획된 대답을 제시할 것이다. 
  5. 다수의 의견 제시: 주요 실험 목표는 참가자가 진실한 대답이 아닌 다수의 잘못된 의견을 따르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사전에 계획된 대답을 듣고 실험에 참가한 공동체 외 한 명은 정답 대신 다수의 의견에 따르는 답을 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관찰한다. 
  6. 결과 기록: 실험 진행 중 참가자들의 대답과 그의 심리적 상태를 분석, 기록하고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참가자들이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집단 압력과 개인의 의사 결정에 대한 자료를 얻는다. 

 

 

먼저 실험 참가자들은 홀로 있을 때 99%의 정답률을 보였다. 단순한 이 실험은 다수의 참가자들이 개입했을 때에는 전혀 다른 상황이 펼쳐졌다. 정답은 C라고 확신하던 참가자는 다른 참가자들의 대답을 듣고 당황을 하기 시작했고 다른 참가자들의 대답이 모두 같아지는 순간 집단 압력에 굴복하기 시작하여 정답률은 75%를 기록했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실험에서는 한 번도 틀리지 않게 대답한 참가자는 불과 23.6%에 지나지 않았고 이렇게 단순하고 정답이 확연하게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많은 동조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더 나아가 솔로몬 애쉬는 집단의 규모를 늘려가면서 동조 실험을 이어갔고 집단의 규모가 클수록 오답률은 늘어난 다는 것과 참가자의 지지가가 발생했을 때 참가자의 심리적 변화를 관찰했다. 그리고 지지가가 마음을 바꾸며 변절했을 때의 상황을 주시하며 심리적 압박을 더했고 급격히 오른 오답률을 보며 계속된 실험을 이어 나아갔다. 애쉬는 참가자들의 상황에 다양한 변화를 주었고 그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개인의 판단의 영향력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단순한 실험이지만 애쉬는 이 결과를 통해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따라 자신의  의견을 조정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개인의 독립적 사고와 의견 형성에 대한 이해도를 증신시킴과 동시에 사회적 규범과 복종에 대한 경각심을 제기하기도 했다. 

728x90
반응형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버트 헤어와 싸이코패스  (0) 2023.07.12
로버트 자이언스의 노출 효과  (0) 2023.07.06
필립 짐바르도의 집단의 권위와 환경  (0) 2023.07.04
현대사회와 심리학  (0) 2023.06.30
매슬로의 기탁 계층론  (0)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