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정보

2023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 알아보고 소비자물가지수 확

by 무능대디 2023. 11. 2.
반응형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물가. 그 물가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심을 위해 이번에도 자료를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난 8월 올려드린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10월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파악해 보는 짧지만 유익한 정보가 되어보길 바랍니다. 

 

 

소비자물가동향과 지수의 기본 개요

■ 소비자물가지수

  ○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

  ○ 가격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가격변동을 측정

 

■ 생활물가지수

  ○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

 

■ 신선식품지수

  ○ 신선 어개, 채소, 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

 

■ 지수 기준연도: 2020년을 기준으로 수치 100을 나타냄 (2020년 = 100

  ○  2023년 12월 중 가중치 개편결과 발표예정(최근의 소비구조 변화를 물가지수에 반영)  

 

■ 소비자물가동향을 알아보는 가격조사 실시대상

  ○ 상품 및 서비스 품목 458개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40개 지역에서 조사

 

■ 소비자물가동향을 알아보는 대표품목 선정 기준

  ○ 가구부문 전체의 평균적인 물가변동 측정을 위한 항목별 월평균 소비지출액이 1/10,000 이상인 항목

  ○ 상품군의 가격흐름을 대표할 수 있으며 시장에서 가격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품

 

 

2023년 10월 소비자 물가동향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8% 각각 상승

  ○ 전월대비 전기·가스·수도는 변동 없으며 농축수산물은 하락, 공업제품, 서비스 부분은 0.3% 상승

  ○ 전년동월대비 서비스, 공업제품, 농축수산물 및 전기·가스·수도가 모드 상승하여 전체 3.8% 상승

 

■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월 대비 0.4%, 전년동월대비 3.6% 각각 상승

 

■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 동월대비 3.2% 각각 상승

 

■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4.6% 각각 상승

  ○ 전년동월대비 식품은 5.8%, 식품 이외는 3.8% 각각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1.1% 하락, 전년동월대비 12.1% 상승

  ○  전년동월대비 신선과실 26.2%, 신선채소 5.4%, 신선 어개 2.8% 각각 상승

 

 

소비자물가지수 부분별 동향

지출목적별 동향(소비지출의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작성 - 12개의 대분류)

  ○ 전월대비 기타 상품 및 서비스 그리고 통신 부분은 변동 없으나 교통(1.3%)이 크게 상승

  ○ 전년동월대비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지출 부분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대체적으로 각 품목별 상승

 

품목성질별 동향(농축수산물, 공업제품, 서비스 등으로 구분)

  ○ 상품은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4.7% 각각 상승

     -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0.2% 하락, 전년동월대비 7.3% 상승

     -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3.5% 각각 상승

     - 전기·가스·수도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9.6% 상승

 

  서비스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0% 각각 상승

     - 집세는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모두 변동 없음

     -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2.2% 각각 상승

     -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4.1% 각각 상승

 

지역별 소비자물가 동향

  ○ 전월대비 부산은 0.6% 상승으로 지역별 소비자물가지수가 가장 큰 폭으로 상승

  ○ 전년동월대비 서울과 부산은 4.2%, 4.1%로 각각 큰 폭으로 상승

 

 

<함께 보면 좋은 정보>

 

2023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 자세히 알아보기 소비자물가지수 확인

매월 뉴스에서는 물가상승을 수치로 나타내며 많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 2023년 8월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3.4% 직전 기준 대비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체감이 될 정도로 많이 올랐으며 우리

daddy4u.tistory.com

 

소상공인 및 개인사업자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정책 지원으로 대출이자 줄이기

정부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의 경영 해소를 돕기 위해 금융부담 완화와 내수 활성화를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코로나 당시 선지급된 재난지원금에 대환 환수를 면제하기로

daddy4u.tistory.com

 

 

2024년 기준 중위소득 생계급여 지원기준액 역대 최대인 13.16% 인상(4인가구)

중앙생활보장위원회는 7월 28일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을 심의했다. 생계급여 지원 기준액이 역대 최대 수준으로 오른 만큼 복지혜택이나 지원받을 수 있는 기준이

daddy4u.tistory.com

 

 

의약품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 구제 받는 방법

2023년 상반기 기준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가 113건 접수되었고 그중 64건에 대하여 지급이 결정되었다. 이는 지난 2014년 이후 총 1179건이 접수된 후로 859건이 지급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의약품

daddy4u.tistory.com

 

728x90
반응형